싱가포르 교육 육아

싱가포르 이민 기간에 대한 고민 - 12년특례입학의 달콤한 유혹 : 대학 특례 입학제도

워킹앤리치맘 2024. 2. 17. 10:47
728x90

아이들과 해외생활을 하는 분들은 다 하는 고민일 것입니다. 얼마나...살아야하고 언제 돌아가야 하나..

주재원처럼 5년 정해져서 나오시는 분들을 제외하고는

해외에서 완전히 눌러 살 수 있는 견실한 사업체가 있으신 분들을 제외하고는..

저처럼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분들은 이 직장이 영원한 것도 아니고

더 늦기전에 한국에 들어가서 다시 경력을 이어가야하는데....아이들은 해외의 교육 사이클에 이미 들어간 상태이고,..

아이들이 어릴때에는 부담없이 왔다가...그냥 몇 년 영어 실력 쌓자..라고 생각하고 왔을지라도 아이들이 학교에 들어가면서 12년의 과정을 시작하게 되면....고민이 시작됩니다.

 

이 12년이 왜 중요하냐..

한국 대학에서 12년 특례입학제도가 압도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 대학에서 해외 주재 아이들을 대상으로 모집하는 제도는 3년 특례와 12년 특례 단 두가지만 있습니다.

예전에는 7년 특례도 있었기에 일단 7년만 버티면 어느 정도 승산이 있었는데  

7년에 폐지됨에 따라 3년은 너무 경쟁이 심해서, (너무 많기 때문에) 특례의 혜택을 보려면 12년을 채워야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한국대학 특례입학 제도에 대한 정보입니다.

2021학년도부터 재외국민 특별전형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개편되었습니다.

  • 중고교과정해외이수자 전형: 고등학교 과정 1개 학년 포함 중고교 과정 3개 학년 이상을 해외 학교에서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 초중고전교육과정해외이수자 전형: 초중고 교육과정을 모두 해외 학교에서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모든 유형의 지원자는 다음과 같은 기본 자격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해야 합니다.
  • 지원자 본인 및 부모 모두 해외 체류 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 지원자 본인은 지원 전 3년간 해외 학교에 재학해야 합니다.
  • 부모 중 1인 이상은 지원 전 3년간 해외 근무, 해외 사업, 해외 영업 등을 해야 합니다.

각 유형별 추가 자격 조건 및 지원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고교과정해외이수자 전형

  • 추가 자격 조건:
    •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4급 이상 또는 한국어 성적 평가(K-SAT) 40점 이상
    • 해외 학교 졸업 또는 졸업 예정
  • 지원 절차:
    • 온라인 지원 및 서류 제출
    •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또는 한국어 성적 평가(K-SAT) 응시
    • 면접

초중고전교육과정해외이수자 전형

  • 추가 자격 조건:
    •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3급 이상 또는 한국어 성적 평가(K-SAT) 30점 이상
    • 해외 학교 졸업 또는 졸업 예정
  • 지원 절차:
    • 온라인 지원 및 서류 제출
    •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또는 한국어 성적 평가(K-SAT) 응시
    • 면접


만일 아이들의 대학을 한국으로 보내고 싶다면, 12년 특례는 되어야 원하는 대학에 들어갈 확률이 높기 떄문에

부모들은 강제로 12년 이상을 채워야하는 목표 아닌 목표가 생기게 됩니다. 

저도 아이들이 정말 특출나서 미국 이이비리그 대학에 장학금을 받을 정도의 수준이 되지 않는 이상은 싱가포르 국립대학이나 한국 대학을 보내고 싶습니다. 미국 유학을 그리 선호하지도 않고, 일단 한국에서 은퇴하여 아이들과 살고 싶기 때문입니다. (너무 제 위주인가요?) 

그렇기에 12년 특례라는 달콤한 유혹을 포기하기가 어렵네요.. 과연 남은 9년을 채울 수 있을까요.